미술 뒤에 숨겨진 정치, 경제 및 사회사적 의미를 살펴보고, 시대적 배경과 작품에 얽힌 내막 및 변천사에 대해 알아봅니다.
CURRICULUM
- 1 백제의 마지막 미륵보살상
- 2 한국최고의 고혹미 감산사 불상
- 3 종, 천상의 소리를 위하여
- 4 신라황금기의 성덕대왕 신종
- 5 칠불암과 굴불사
- 6 미륵신앙에서 아미타 신앙으로
- 7 보타락가산을 찾아라
- 8 탑의기원
- 9 황복사지 삼층탑의 보물들
- 10 불국시대
- 11 다보탑과 석가탑
- 12 아! 석굴암
- 13 11면 관음 보살상의 비밀
- 14 석굴암 10대 제자상과 유마경의 세계
- 15 사라진 불국시대의 보물들
- 16 진표와 미륵불 이야기
- 17 선종과 비로자나불
- 18 구산선문과 탑비미술
- 19 왕건의 등장과 선종미술
- 20 예산 사면불이 아산만을 바라보고 있는 까닭은
- 21 서산마애불에는 백제인의 미소가 있다
- 22 신라가 불교를 수용하다
- 23 누가미륵을 차지할 것인가?
- 24 고구려 고분벽화 이야기- 사신도
- 25 선덕여왕을 닮은 국보 83호 반가사유상
- 26 황룡사 구층탑의 비밀
- 27 미륵보살의 시대는 지나가고
- 28 영웅들의 시대
- 29 김춘추를 닯은 배리 미륵불 삼존상
- 30 왕건과 최치원
- 31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
- 32 왕건시대의 불상
- 33 고려왕조가 거대불상을 세운 까닭
- 34 고려인을 닮아가는 불상
- 35 고려 탑비미술의 뿌리
- 36 고려 탑비미술의 변천
- 37 고려 청자 이야기
- 38 비색 시대
- 39 무신정권과 상감청자
- 40 고려 팔만대장경
- 41 부처없는 불교미술의 시대
- 42 간다라 불상은 인도최고의 미남자였다
- 43 불상은 단벌 신사인가
- 44 황인종 닯은 불상 출현
- 45 곤룡포를 입은 불상
- 46 고구려 안악 3호분은 누구의 무덤인가
최완수
간송미술관의 소장으로, 진경시대 문화 연구의 대가이자 겸재 정선, 추사 김정희 연구의 일인자이다. 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했으며, 1965~1966년 국립박물관을 거쳐, 1966년부터 지금까지 간송미술관 연구실장,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소장으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. 저서로 『추사집(秋史集)』(1976), 『김추사연구초(金秋史硏究艸)』(1976), 『그림과 글씨』 등이 있다.